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핼러윈의 뿌리, 정착과 상징의 변천, 현대의 변화와 사회적 의미 확장

by buenavibra 2025. 10. 17.

고대 사윈에서 탄생한 핼러윈의 뿌리

핼러윈(Halloween)은 매년 10월 31일, 만성절(All Saints’ Day) 전날에 열리는 미국의 대표적인 민속 축제다. 유령, 괴물, 마녀 등으로 분장하고 잭오랜턴을 밝히며 ‘트릭 오어 트릿(trick or treat)’을 외치는 풍경은 이제 세계적으로도 익숙하다. 이 행사의 기원은 고대 켈트인의 ‘사윈(Samhain)’ 축제에서 비롯됐다. 켈트인은 한 해의 끝을 10월 31일로 여기며, 죽은 자의 영혼을 달래고 악령을 물리치기 위해 모닥불을 피우고 제의를 올렸다. 이때 악령이 사람을 착각하도록 괴이한 분장을 했는데, 이것이 현대 핼러윈 분장의 원형이 되었다고 알려진다.

‘핼러윈’이라는 이름은 ‘올 핼러우스 이브(All Hallows’ Eve)’에서 줄어든 말이다. ‘Hallow’는 성인을 뜻하는 고대 영어 단어이며, 800년경 만성절이 11월 1일로 지정되면서 그 전날인 10월 31일이 축제의 날로 자리 잡았다. 교황 그레고리우스 1세는 이교도의 신앙을 억압하기보다 흡수하는 정책을 폈고, 사윈은 기독교 만성절 전야로 자연스럽게 통합되었다. 즉, 핼러윈은 서로 다른 종교와 문화가 충돌이 아닌 공존을 통해 만들어낸 혼합적 전통의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미국에서의 정착과 상징의 변천

 

핼러윈이 미국 전역으로 퍼진 것은 19세기 중반 아일랜드 대기근 이후 대규모 이민자 유입이 계기가 되었다. 그들은 본국의 사윈 풍습을 가져왔고, 미국의 도시 문화와 결합하면서 오늘날의 핼러윈으로 발전했다. 유럽에서는 순무를 사용해 만든 등불이 상징적이었지만, 미국에서는 풍부한 호박이 대신 사용되며 잭오랜턴으로 자리 잡았다. 구두쇠 잭의 전설과 도깨비불의 이미지가 결합해 ‘집 앞의 등불’은 곧 축제 참여의 신호가 되었다.

1930년대 이후 신문과 라디오, 텔레비전을 통해 ‘트릭 오어 트릿’이 대중화되면서 핼러윈은 전국적인 행사로 자리 잡았다. 아이들이 분장하고 이웃집을 돌며 과자를 받는 풍습은 중세의 ‘소울링(Souling)’과 스코틀랜드의 ‘가이징(Guising)’ 전통에서 유래한 것이다. 전후 시대를 거치며 핼러윈은 가족 단위의 이웃 교류 행사로 확대되었고, 오늘날에는 학교, 상점, 쇼핑몰 등 다양한 공간에서 안전하게 즐기는 형태로 발전했다.

대표적 놀이로는 물 위의 사과를 입으로 건지는 ‘사과 건지기(Bobbing for Apples)’가 있다. 로마의 과일 여신 포모나의 상징과 연결된 이 놀이는 풍요와 행운을 기원하는 의미를 지닌다. 또한 분장과 가장 무도회는 어린이 축제를 넘어 성인 코스튬 파티로 확장되었다. 역사 인물, 정치인, 영화 캐릭터를 패러디한 의상은 매년 SNS에서 화제가 되며, 뉴욕 그리니치빌리지의 ‘핼러윈 퍼레이드’는 화려한 무용, 서커스, 예술 공연이 어우러진 대표 행사로 꼽힌다.

 

 

 


현대의 변화와 사회적 의미 확장

 

현대의 핼러윈은 단순한 분장 축제를 넘어 사회적 의미를 가진 시즌 행사로 자리했다. 도시화와 안전 문제가 대두되며 가정, 학교, 상점, 쇼핑몰 등으로 무대가 분산되었고, 자선 모금이나 지역 교류, 이웃 네트워킹을 중심으로 한 참여형 행사도 늘고 있다. 기업들은 상업적 요소를 더해 관련 상품과 테마 이벤트를 선보이지만, 동시에 커뮤니티 기여와 안전 캠페인을 함께 강조하는 추세다.

핼러윈의 색상 상징은 주황과 검정이다. 주황은 수확과 호박, 검정은 밤과 미지의 세계를 나타낸다. 유령, 해골, 박쥐, 고블린, 좀비, 드라큘라 등은 여전히 대표적인 테마로 유지되며, 최근에는 인기 캐릭터나 유명인 패러디가 주류를 이룬다. 음식으로는 호박 파이, 구운 호박씨, 사과사탕, 젤리, 시즌 한정 음료 등이 인기를 얻고 있다.

안전한 핼러윈을 위해서는 아이 동행자 지정, 밝은 복장 착용, 알레르기 정보가 적힌 사탕 준비, 통행량이 많은 구역 선택, 유통기한이 표시된 소분 포장 등 세부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이는 단순한 놀이를 넘어 지역사회가 함께 책임지는 문화를 형성하는 기반이 된다.

결국 핼러윈은 고대 켈트의 사윈에서 시작된 죽음과 수확의 제의가, 기독교와 현대 도시 문화를 거치며 공동체 중심의 축제로 변화한 사례다. 오늘날의 핼러윈은 전통과 현대, 종교와 세속, 상업과 공동체가 교차하는 하나의 사회적 플랫폼으로 기능하고 있다.